양천구는 다음달 30일까지 목동선·강북횡단선 재추진을 촉구하는 서명을 받고 있다. “도시철도의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경전철을 경제성을 중심으로만 판단해선 안 된다”는 것이다. 앞서 강서구, 성북구, 서대문구, 종로구 등도 강북횡단선 재추진 서명운동을 벌여 주민 의견을 서울시, 기획재정부, 국회 등에 전달했다.
2019년 서울시의 제2차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돼 논의가 시작됐다. 철도 서비스 소외 지역인 서울 서남권(강서·양천)과 서북권(서대문·은평·마포), 동북권(도봉·강북·노원·성북)에 새로운 노선을 만들어 대중교통 이용 환경을 개선하는 목적이다. 재원은 국고 40%, 서울시 60%로 분담한다.
수도권의 통행량이 줄어들고 있는 것이 문제로 지적됐다. 전반적인 교통 수요가 감소 추세인데, 강북횡단선을 굳이 지을 필요가 있느냐는 것이다. 예비타당성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수도권 여객 총 통행량은 2030년 4444만6241통행(하루 기준)에서 2040년 4191만1735통행, 2050년 3774만2082통행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사업노선 수요도 2030년 11만7678통행(하루 기준)에서 2040년 10만9090통행, 2050년 9만8325통행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강북횡단선을 짓더라도 개통 후 이용량이 계속 줄어들 것이란 얘기다.
평창동~정릉 구간은 인구 밀도가 낮은 데다 산악 지형으로 공사비가 많이 드는 점도 문제로 꼽혔다.
서울 지하철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가장 많은 사람이 이용한 지하철역은 강남역으로, 한 달 동안 474만명이 승하차했다. 이어 잠실(460만명), 홍대입구(450만명), 1호선 서울역(435만명), 구로디지털단지(335만명), 신림(329만명), 성수(328만명), 삼성(320만명) 순이었다. 한강 이남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서울시 의원들은 “강북횡단선 건설은 단순한 교통시설 확충을 넘어, 서울시 전체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사회적 통합을 위한 필수 과제”라며 “강남과 강북 간 격차를 완화하고 도시 균형발전을 이루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했다.
내년 서울시장 선거를 앞두고 강북횡단선 재추진이 강북권 표심을 잡을 공약으로 떠오를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