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첫삽 뜬 GTX-B…'찐 수혜' 지역은 이곳[집코노미-집집폭폭]
이달 인천과 경기 남양주를 잇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B노선 공사가 본격 시작됐다. 지난해 3월 착공식 개최 후 약 1년5개월 만이다. 공사 기간은 72개월이다. 예정대로 진행되면 2031년쯤 개통이 이뤄진다. 인천 송도와 남양주, 서울 신도림과 청량리 일대가 수혜 지역으로 거론된다.

GTX-B노선은 인천 송도(인천대 입구)에서 신도림, 여의도, 서울역, 용산, 청량리 등을 거쳐 남양주 마석을 잇는 약 82.8㎞의 광역급행철도 노선이다. 인천대 입구~용산, 상봉~마석 구간은 민간 업체가 사업을 맡는다. 공사비 4조2894억원이 투입된다. 용산~상봉은 세금으로 짓는 재정 구간이다. 2조7774억원의 공사비가 책정됐다.

GTX-B 공사는 지난해 중순 시작될 예정이었다. 지난해 3월 착공식도 열었다. 그러나 시공사인 건설사와 투자사 간 계약 관련 이견이 발생하며 지연됐다. 계약의 세부 조항을 놓고 양측이 대립한 것인데, 최근 대우건설이 투자사인 신한은행 측의 요구 조건을 수용하면서 문제가 해결됐다. 최초 건설투자자였던 DL이앤씨·롯데건설·금호건설 등이 빠지고, 대보건설·HS화성·이수건설 등이 채웠다.
송도국제도시 전경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송도국제도시 전경 /인천경제자유구역청 GTX-B 양 끝에 해당하는 인천과 남양주의 수혜가 가장 클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 접근성이 대폭 개선되기 때문이다. 현재 이들 지역에서 서울 여의도·서울역 등 주요 업무 지역으로 이동하는 데 1시간 넘게 걸린다. GTX-B노선이 생기면 인천 송도에서 여의도까지 23분, 서울역까지는 29분 만에 이동할 수 있다. 남양주 평내호평역에서 서울역까지 이동 시간도 20분대로 줄어든다.

국제도시로 개발된 송도는 뛰어난 주거 환경에도 그동안 집값이 약세였다. 아파트 공급이 워낙 많았고, 서울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 탓이었다. GTX-B노선 착공으로 송도에선 인천대입구역 인근 단지에 관심이 커질 수 있다. 실제로 역 주변 단지는 가격이 잘 내려가지 않고 버티는 중이다. 역 바로 앞에 있는 ‘송도 더샵 파크애비뉴’(856가구)는 전용 59㎡는 지난 24일 8억4700만원(22층)에 거래됐다. 역대 최고가 8억7500만원의 97%에 해당하는 가격이다.
청량리역롯데캐슬 SKY-L65 투시도
청량리역롯데캐슬 SKY-L65 투시도 인천 남동구 인천시청역, 부평구 부평역에도 GTX-B노선이 지난다. 부평역 인근엔 최근 새 아파트가 속속 들어서고 있어 GTX 개통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e편한세상시티 부평역 센트럴파크’(1500가구)와 ‘부평역 해링턴 플레이스’(1909가구), ‘부평 SK뷰 해모로’(1559가구)가 대표적이다. ‘

남양주에서는 별내역, 왕숙역, 평내호평역, 마석역 등 네 곳에 GTX-B노선이 정차한다. 남양주 별내신도시와 평내지구, 호평지구, 앞으로 수도권 3기 신도시가 들어서는 왕숙지구 등에 수혜가 기대된다. 평내호평 주변에선 지난 4월 분양한 ‘두산위브더제니스 평내호평역 N49’(548가구)가 옆 바로 옆에 있다. 별내역 인근에선 ‘별내 아이파크 2차’ 전용 84㎡가 지난 7월 최고가인 7억9200만원(2층)에 거래됐다. ‘남양주 별내 더샵’ 전용 128㎡도 지난달 9억3500만원(6층)에 손바뀜해 2022년 10억원 이후 3년 만에 가장 높았다.
서울 청량리역 전경 /서울연구원
서울 청량리역 전경 /서울연구원 서울 안에서는 신도림과 청량리 등이 기대를 모은다. 이미 교통 요지이지만, GTX-B노선을 비롯해 더 많은 교통이 모일 예정이다. 현재 청량리역에는 1호선, 수인분당선, 경의중앙선, 경춘선, KTX 등이 정차한다. 앞으로 GTX-B·C노선, 면목선도 지난다.

청량리역 주변에선 ‘청량리역 롯데캐슬 sky-l65’ 전용 84㎡가 지난달 30일 17억3000만원(35층)에 거래됐다. 지난해 세운 역대 최고가 18억7930(58층)의 92% 수준이다. ‘청량리 한양수자인 그라시엘’(1152가구)과 ‘래미안 크레시티’(2397가구) 등도 관심을 받는 역 주변 단지다.

신도림역 주변에선 ‘신도림 대림 1·2차’ 전용 59㎡가 지난 7일 신고가인 10억2500만원(16층)에 팔렸다. ‘신도림 동아 3차’ 60㎡는 지난 9일 11억7000만원(21층)에 손바뀜해 2021년 기록한 최고가(11억7500만원)를 거의 회복했다. 신도림역 주변은 디큐브시티 등 상업시설이 잘 갖춰져 있고, 인근 문래동 준공업지역이 주거 단지로 변모하고 있어 집값 상승 여력이 크다는 평가다.
철길과 도로를 따라 집값도 달립니다. ‘집집폭폭’은 교통 호재의 모든 것을 파헤치는 역세권 투자 길잡이 코너입니다. 빅데이터와 발품 취재를 결합해 깊이 있고 생생한 정보를 전달합니다. 집집폭폭 열차는 매주 금요일 집코노미 플랫폼에서 탑승할 수 있습니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